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저렴한 UM2 짐벌 셀카봉 삼각대 리얼 후기 (갤럭시 유저 필독)

사용

by 심개의 개발노트 2019. 12. 12. 21:53

본문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스마트폰 짐벌 셀카봉 삼각대를 구매하고 사용해본 후기입니다. 요즘은 스마트폰으로 사진뿐만 아니라 동영상 촬영도 많이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스마트폰에 손떨림보정 기능까지 들어가고 있는 상황인데요. 아직은 손떨림보정 기능을 사용하게 되면 동영상 촬영에 제약사항이 생기는 등 완벽히 짐벌 수준의 영상을 촬영하기 어렵게 되는데요. 그래서 요즘 스마트폰 짐벌을 구매하는 분들이 정말 많더라고요. 

그런데 스마트폰 짐벌을 구매하면 무게도 나가고 유튜버가 아닌 이상 굳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그래서 일상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한 짐벌 + 셀카봉 + 삼각대가 하나로 합쳐진 UM2 구매했습니다. 이런 비슷한 제품들이 요즘 엄청 많이 나오고 있고, 4만원에서 5만원 사이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이런 제품들은 대부분 1축 짐벌이기 때문에 가벼우면서 어느정도 안정적인 영상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집에 도착하니 택배가 도착했더라고요. 바로 뜯어서 충전을 했습니다. 

구성품은 삼각대 본체 한개와 충전케이블, 설명서가 있고, 케이블 밑에 보이는 것은 스마트폰 사이드에 있는 키가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더라고요. 저는 딱히 사용할일이 없었습니다.

충전단자는 마이크로 5핀을 사용하고 있고요. 케이블이 들어있기 때문에 충전기만 있으면 충전이 가능합니다. 제 핸드폰은 마이크로 5핀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완충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1시간 30분이고 사용시간은 2시간 30분입니다. 실제 여행을 하면서 사용한다면 중간에 사용안할때는 베터리를 가지고 다니면서 충전을 하는게 좋을 것 같네요. 아무대로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베터리 용량은 그다지 크지 않네요. 

하단 손잡이는 이렇게 펼쳐서 삼각대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손잡이는 딱딱한 플라스틱으로 되어있었고, 추울때 맨손으로 잡아도 괜찮을 것 같네요.

그리고 여기 빨간색 톱니바퀴처럼 생긴 것은 모터를 고정할 수 있는 레버인데요. 평소에 짐벌 전원을 켜지 않으면 계속 돌아가게 되는데요. 이것을 돌리면 모터가 고정이 되면서 일반 삼각대에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처음에는 조금 뻑뻑하더라고요. 조금 조심해서 돌리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길게 늘리면 셀카봉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셀카봉대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져 있어서 핸드폰 무게는 충분히 버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재질도 꽤 튼튼한 느낌의 알루미늄이더라고요. 

그리고 셀카봉으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리모컨이 장착되어 있고, 탈부착이 가능합니다. 리모컨을 꺼낼때는 셀카봉을 살짝 늘려주고 빼야지 안그러면 셀카봉에 막혀서 나오지 않아요. 저도 처음에 모르고 손만 무지 아팠네요. 리모컨은 별도의 베터리가 들어가고, 블루투스를 이용해 핸드폰과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저는 이 제품을 가족들이랑 같이 사용하려고 주문했는데요. 한가지 정말 큰 단점이 있었습니다. 저희 가족은 모두 갤럭시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갤럭시 노트의 경우 사이즈가 너무 커서 짐벌을 사용하여 핸드폰을 세로로 거치할 수 없더라고요. 

이렇게 돌아가면서 핸드폰이 걸리게 됩니다. 그렇다고 핸드폰 중심을 맞추지 않고 대충끼면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작동이 이상하게 되는 경우도 생기더라고요.

이렇게 중심을 맞추고 버튼을 누르게 되면 초록색 불이 들어오면서 짐벌기능이 되는데요. 위 사진과 같이 가로로 사용하는데는 문제가 없는데, 버튼을 한번더 누르게 되면 세로모드로 바뀌는데 이때 핸드폰이 걸리면서 짐벌이 계속 돌아가는 문제가 있더라고요. 저희집에 있는 핸드폰 중에서 세로모드가 되는 핸드폰은 갤럭시 S7뿐이더라고요. ㅠㅜ 

구매하시는 분들은 꼭 이부분을 생각하고 구매하세요. 아마 비슷한 형태의 삼각대들 대부분이 이런 문제가 있는 것 같았습니다. 저는 아마 이런 느낌으로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네요. 그래도 가로모드만 사용한다면 부드럽고 떨림없는 영상을 찍을 수 있더라고요.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